시스템

 

Processor

Intel Core i7-3630QM @2.40GHz

Memory

4G+8G DDR

Hard Drive

128G mSSD+750G(7200rpm) HDD

Video Card

NVIDIA GeForce GTX 660M /2GB

Monitor

15.6`` FHD 1920x1080 LCD /LG Flatron 995ft Plus CRT

Keyboard

Leopold FC700R ENG (Click)

Mouse

Microsoft IntelliMouse Explorer 3.0 (COMBO)

 

 

 

 

 

 

 

 

유용한 유틸

download Nvidia inspector

my csgo Nvidia inspector setting

 

Frame Rate Limiter: 개인적으로 fps_max 99~59까지 활용하는 걸로 굳힌 뒤의 설정이다.

120 프레임으로 고정한다고 가정하면 Frame Rate Limiter는 122로 지정하면 된다.

제한할 프레임보다 적어도 2프레임 이상으로 지정해줘야 드랍 현상이 없다. (타이트한 값은 드랍 생김)

만약 프레임 제한 (Fps_max 명령어)을 사용하지 않는 유저는 이 항목 해당 없음. 제한값 추가하는 방법

 

 

download injectSMAA

사용방법

 

 

download tcpip optimizer

my TCP Optimizer setting

 

 

download Lucas Hale Timer Resolution

 

 

케이클리너 + (Razer Game Booster) : Razer Game Booster 기능을 직접 조정 할 수 있다면 필요 없다

 

 

Microsoft DirectX Control Panel 9.0c Build 5.04.00.3900

모르고 사용하면 반드시 충돌 일어남. 관련 링크

단순 활용하는 툴이라 개인의 정리 목적으로 올려 놓음.

 

 

 

 

마우스 설정

제품: 뉴익스 3.0, 400dpi/500Hz mousepollingrate500hz.zip

개인 마우스 픽스 사용: 다운로드

 

 

 

 

제어판 소리 설정

재생탭: 44100Hz/ 16bit

녹음탭: 44100Hz/ 16bit

 

EQ 수정

 

 

 

  

CSGO 클리닝

 

1. 클라이언트 csgo 폴더 청소

최초 설치 또는 오랫동안 게임하며 알게 모르게 쌓인 파일에 용량을 차지하고 성능에 영향을 미칠때,

한번 싹 밀고 깨끗한 상태에서 시작하고 싶을 때가 있다. 이럴 때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개인적으로 csgo 업데이트 몇 번 거치면 나타나는 현상이 있는데,

잘 고정되던 프레임이 ±1 급하게 왔다갔다 안정적이지 못하게 변동하는 현상이 일어날 때가 있다.

(낮은 프레임 높은 프레임 할 거 없이 변동하는 이상 현상)

 

 

 

2. 서버 csgo 폴더 청소

위 스팀 클라이언트 폴더 청소와 같다.

서버 폴더 안에 csgo 폴더 찾아서 maps 폴더 제외한 폴더를 지워주고,

steamcmd에서 app_update 740 validate를 이용해서 무결 검사 하면 끝.

※무결 검사/다운로드 중 다운로드 건너뛰는 현상이 생기면 다시 지우고 무결 검사.

<아직 게임 시작하지 말 것.>

 

 

 

3. 스팀 클라이언트 초기화

위에 csgo 관련 클리닝을 마치고 나면, 이제 스팀 클라이언트 자체를 초기화 시켜준다.

 

 

 

4. Steamservice.exe 무결 검사

스팀 기본 설치 폴더가 c:\ 일 때,

C:\Program Files (x86)\Common Files\Steam\Steamservice.exe

C:\Program Files (x86)\Steam\bin\Steamservice.exe

두 폴더에 있는 Steamservice.exe수정 일시/ 크기가 동일한 동일 파일인지를 확인.

 

만약 동일하지 않다면,

링크를 타고가서 'Steamservice 수리 명령 수행' 과정을 적용한다.

 

 

 

5. 클리닝 작업 후 글옵 최초 실행

이 작업은 개인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으로

기본적으로는 다이렉트X를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환경에 맞춰주고

(dxlevel 90, 95, 98 중 운영체제나 launch options 설정, 또는 winxp모드 실행 등으로

다이렉트 값이 변할 때 그 설정에 맞추기 위해서는 이 작업이 필요하다고 한다),

또 디폴트 상태가 된 서버를 최초 구동해 바로 개인 서버 설정 적용시 일어나는 버그 현상을 방지한다.

개인적인 경험으로 알아낸 것들이라 다른 이에게 필요할지는 모르겠다.

 

 

 

 

개인 게임 설정

download files

 

Launch Options

-freq 120 -noaafonts -nojoy -noipx -noforcemaccel -noforcemspd -useforcedmparms +sv_clockcorrection_msecs 15 -language "english" -high

 

 

 

valve.rc

 

0ms.cfg

 

128Lan.cfg

 

 

 

autoexec.cfg

 

 

 

config.cfg

 

 

 

listenserver.cfg

봇모드와 매치 서버 사이의 이질감 떄문에 (한쪽은 반응이 너무 가볍고 한쪽은 너무 무겁고),

모션과 보간 지연, 전송률 등 결정하는 항목을 추가해서 매치 서버 느낌 같게 해보려했다.

(어디서 스쳐 본 디폴트 값이 정식 룰 수치와 다르던 것 같았다. 확신 없음)

물론 서버 돌릴 때의 사용량이 다르고 여러 여건이 달라 완전히 일치 시킬 순 없지만,

조금이라도 동일한 느낌을 받고 싶었다.

그냥 서버 정보만 제공하는 파일이겠거니 했는데, 실작동 한다.

혹시 서버 운영하는 유저는 의례하듯 sv_cheats 0 설정했다간 봇놀할 때 치트코드가 안 먹힌다.

리슨서버.cfg는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구분해서,

각각 다른 파일로 작성해야 한다. (파란색은 서버용 리슨서버.cfg에 추가되는 항목)

직접 작성해도 되는데 얼핏 파일 용량이 1KB 안? 아무튼 적은 용량으로 작성해야한다고...(확신 없음)

간단하게 필수 정보를 제공하면 되겠다.

 

 

 

video.txt

video.txt 내용 양식 (버전)이 변했다.

videodefaults.txt 파일을 따라가는데 이전 형식 파일로 고치면 안되지 싶다(?).

다른 것은 다 동일한데, 한 두 항목이 보이지 않고, VendorID/ DeviceID 이 두 항목이 가장 신경 쓰인다.

검색하면 사람마다 틀린 것으로 봐서 개인 pc에 특화된 코드 같기도 하고 (확실히는 모르겠다).

아무튼 그대로 가져가서 적용하는 건 권하지 않는다. (파일 첨부 하지 않음)

 

직접 자신의 파일을 수정하길 권한다.

특히 타인의 콘픽을 가져가서 적용할 때 해상도가 자꾸 바뀐다는 사람들이 있는데,

기본적으로 적용된 해상도와 현재 OS 해상도가 일치해야하고,

또 'setting.aspectratiomode' 이 항목에서 가장 많은 실수를 한다. 적용 해상도별 비율을 적용해야한다.

config.cfg 파일에서 'setting.aspectratiomode"도 video.txt 와 동일해야만 해상도 변동 현상을 잡는다.

두 파일 중 한 곳에 -1로 되어있는 경우가 가장 흔한 경우인데, 확인해봐야한다.

도저히 못찾을 땐 video/videodefaults.txt파일을 읽기전용으로 바꾸면 된다.

그런데, vendorID/DeviceID같이 사양에 자동으로 맞춰지는 항목 변동이 안되기 때문에 권하지 않는다.

심각한 경우 충돌을 일으킨다.

 

 

 

botprofile.db

봇능력치를 상향 수정했다. 또, 서버가 Rank 명령어를 인식 못하기 때문에 그 항목을 삭제했다.

 

 

 

 

개인 5v5 고전 매치 서버 설정

download files

 

ESL 정식 5v5 고전 룰을 참조했다. 다운로드

일반적인 항목은 대부분 일치시켰고, 대기 시간이나 몇몇 국내 유저 매치 룰에 맞춰 수정.

대회룰이 아니라 '국내 팀 온라인 매치 룰' 정도로 표현할 수 있겠다.

혹시나 대회 출전에 관심이 있으면 공식 룰을 숙지해두는 것도 나쁘지 않겠다. 링크


보통 server.cfg에 서버에 필요한 명령어 대부분을 담고 있는 것 같다.

최근 들어서 내 방식이 좀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식은땀)

개인적으로 처음 서버 구축 할 때 서버와 연관된 각 파일들이 있고 그 기능들이 있길래

원본 양식에서 벗어나지 않게 서버 파일을 만들다보니 이런 모양새가 되었다.

각 파일이 중첩되는 명령어가 없도록 하고, 원본 양식을 벗어나지 않게,

그리고 서버 구동시 인식하지 못하는 명령어는 최대한 정리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server.cfg는 다른 연관 파일들에서 빠진 것들만 모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뒤늦게 살펴보니 내 server.cfg 파일이 제일 썰렁한 축에 속했다.



srcds Launch Options

-game csgo -console -usercon -nomaster -maxplayers_override 11 -pingboost 2 +ip 00.00.00.00 +game_type 0 +game_mode 1 -tickrate 128 +tv_enable 1 +tv_maxclients 5 +map de_dust2

 

그리고 프로세스 우선순위를 '실시간'으로 수정.

 

 

 

server.cfg

 

 

 

gamemode_competitive_server.cfg

기본적으로는 server.cfg와 크게 다를 거 없지만,

가능하면 원본 파일 양식에 맞추려고 했고 나머지 양식에 없는 명령어는 server.cfg에 넣어서

명령어가 중첩되지 않도록 하였다. skip 관련 명령어는 인식하지 않아서 삭제했다.

또, gamemode_competitive/gamemode_deathmatch.cfg 수정 파일도 같이 첨부했다.




gamemodes_server.txt

5on5 lader 관련 정보만 담고 있는 파일이다.

맵 순환에 관한 정보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데, 무용지물이다. 맵 순환 쓸 일도 없고.

 

 

 

listenserver.cfg

 

 

 

 

 

Posted by 1밀리미터
,